1. 운동, 무작정 하면 안 되는 이유
운동은 당뇨병 관리에 필수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같은 운동도 언제, 어떤 상태에서 하느냐에 따라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집니다. 무작정 땀을 흘리기보다는, 운동 전과 후의 혈당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운동 전후 혈당 측정의 필요성과 체크 타이밍, 혈당 수치에 따른 행동 지침을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2. 운동 전 혈당 체크가 필요한 이유
- 저혈당 예방
- 혈당이 너무 낮은 상태에서 운동하면 저혈당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고혈당성 케톤산증 예방
- 고혈당 상태(250mg/dL 이상)에서 운동하면 오히려 혈당이 더 올라가거나, 케톤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혈당 반응 파악
- 자신이 어떤 운동에서 혈당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면 운동 처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3. 운동 전 혈당 수치별 행동 지침
혈당 수치 (mg/dL) 운동 전 행동 지침
70 이하 | 운동 금지. 탄수화물 15~20g 섭취 후 15분 후 재측정 |
70~100 | 간식 섭취 후 저강도 운동 시작 |
100~250 | 이상적 범위. 정상적으로 운동 가능 |
250 이상 | 케톤 검사 필요. 음성일 경우 저강도 운동, 양성이면 운동 금지 |
※ 케톤 검사 키트가 없다면, 고혈당 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4. 운동 후 혈당 체크의 중요성
운동 후 혈당은 개인차가 크며, 다음과 같은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 유산소 운동(걷기, 자전거 등) → 혈당이 내려가는 경우가 많음
- 근력 운동(웨이트 트레이닝 등) → 혈당이 일정 시간 후 상승하는 경우도 있음
- 공복 상태 운동 → 저혈당 위험 증가
운동 후 체크 시점
- 운동 직후
- 운동 종료 후 1~2시간 후 추가 체크
5. 운동 중 저혈당 증상과 대처
운동 도중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즉시 운동을 중단하고 혈당을 측정해야 합니다:
- 어지러움, 식은땀, 떨림, 심한 허기, 집중력 저하, 심박수 증가
대처 방법:
- 혈당이 70mg/dL 이하일 경우: 탄수화물 15~20g 섭취 (예: 포도당 정제, 사탕 3개, 과일 주스 반 컵 등)
- 15분 후 재측정, 여전히 낮으면 다시 섭취
6. 꼭 기억해야 할 핵심 사항
- 운동 전후 혈당 측정은 당뇨환자에게 필수적인 안전 수칙입니다.
- 저혈당 상태에서는 운동을 피하고, 고혈당일 때는 케톤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운동 후 혈당 반응은 개인차가 크므로, 기록을 통해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운동은 약처럼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약처럼, 사용법을 잘 알아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운동 계획 있으신가요? 시작 전에 혈당 먼저 확인해 보세요. 당신의 몸이 어떤 상태인지, 숫자가 가장 솔직하게 말해줍니다.
'혈당 낮추는 운동법 & 루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 후 혈당 반응을 해석하는 방법 (0) | 2025.03.25 |
---|---|
운동 중 저혈당 증상과 응급 대처법 (0) | 2025.03.24 |
유산소 vs 근력운동: 혈당 조절에 더 좋은 것은? (0) | 2025.03.21 |
운동 후 저혈당을 피하는 방법 (0) | 2025.03.20 |
혈당을 안정시키는 운동 루틴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