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약 종류와 부작용 총정리

DPP-4 억제제 vs SGLT-2 억제제 비교

healthymartin365 2025. 3. 21. 10:52

1. 당뇨 치료제,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가

혈당을 낮추기 위한 약은 많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약이 많다고 해서 선택이 쉬운 건 아닙니다. 특히나 DPP-4 억제제와 SGLT-2 억제제는 최근 당뇨 치료의 양대 축이라 불릴 만큼 처방이 많아졌습니다. 같은 당뇨약인데도 작용 방식이 다르고,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도 제각각이니, ‘무슨 약이 나한테 맞는 건지’ 고민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DPP-4 억제제와 SGLT-2 억제제를 비교하며 각각의 특성과 선택 기준을 명확히 짚어보겠습니다.

 

DPP-4 억제제와 SGLT-2 억제제의 작용 기전을 비교한 일러스트: 인크레틴 증가 vs 소변 배출 증가"

 

2. 두 약물의 작용 원리 비교

  1. DPP-4 억제제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s)
    • 작용 기전: DPP-4 효소를 억제해 GLP-1 등 인크레틴 호르몬을 증가시킴
    • 효과: 인슐린 분비 촉진, 글루카곤 분비 억제 → 혈당 감소
    • 대표 약물: 시타글립틴, 삭사글립틴, 리나글립틴
  2. SGLT-2 억제제 (Sodium-Glucose Cotransporter-2 Inhibitors)
    • 작용 기전: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억제 → 소변으로 배출
    • 효과: 혈당 감소, 체중 감소, 혈압 감소, 심장·신장 보호
    • 대표 약물: 다파글리플로진, 엠파글리플로진, 카나글리플로진
 

"두 계열 약물의 혈당 강하 외 추가 효과를 도식화한 그래프: 체중 변화, 혈압, 심혈관 보호 등"

 

3. 혈당 조절 효과와 특징

  • DPP-4 억제제
    • 당화혈색소(HbA1c) 감소 효과: 약 0.5~0.8%
    • 저혈당 위험 낮고, 체중 변화 거의 없음
    • 인슐린 분비가 비교적 유지되는 환자에게 적합
  • SGLT-2 억제제
    • 당화혈색소(HbA1c) 감소 효과: 약 0.7~1.0%
    • 체중 감소(1~3kg), 혈압 감소 효과
    • 심부전, 만성신장병이 동반된 환자에게 특히 효과적
 

"DPP-4 억제제와 SGLT-2 억제제의 효과 차이를 한눈에 보여주는 비교 차트"

4. 부작용과 주의사항

  • DPP-4 억제제
    • 비교적 안전하지만, 드물게 췌장염 보고 사례 있음
    • 신기능에 따라 용량 조절 필요 (리나글립틴 제외)
  • SGLT-2 억제제
    • 요로감염, 생식기 감염, 탈수 위험
    • 케톤산증(희귀하나 치명적) 주의
    • 초기에는 이뇨로 인한 피로감 느낄 수 있음

환자의 나이, 신기능, 심혈관 질환 동반 여부에 따라 약물 선택이 달라져야 합니다.

 

각 약물의 부작용과 주의사항을 비교한 체크리스트 스타일의 이미지"

5. 어떤 환자에게 어떤 약이 맞을까

  • 체중 증가가 걱정되거나, 심혈관/신장 질환이 있다면SGLT-2 억제제 우선 고려
  • 고령이거나, 신장 기능 저하가 크고, 저혈당 위험을 피하고 싶다면DPP-4 억제제가 더 적합
  • 기존 메트포르민 치료에 추가 약물이 필요한 경우 → 두 약물 모두 병용 가능, 환자 특성에 맞게 조절

6. 꼭 기억해야 할 핵심 사항

  1. DPP-4 억제제는 안전하고 부담이 적으며, 인슐린 분비 기능이 남아 있는 환자에게 유리합니다.
  2. SGLT-2 억제제는 혈당 조절 외에도 체중, 혈압, 심혈관 및 신장 보호 효과까지 제공합니다.
  3. 약물 선택은 환자의 전신 상태와 동반 질환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4.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부작용 여부를 점검하며, 의료진과 지속적으로 상담해야 합니다.

당뇨 치료는 단순히 혈당만 보는 것이 아닙니다. 나에게 맞는 약을 찾는 일, 그것이 바로 치료의 절반입니다.